요즘 시국이 시국인지라 취업난 또한 거세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대학을 졸업을 해도 졸업유예로 남겨두면서 일자리를 알아보거나 졸업장을 따고 마땅히 입사를 할 수있는 회사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입니다.
청년 내일채움공제
많은 취준생들은 대기업, 공기업, 중견기업 과 같이 탄탄한 회사를 들어가고자 열심히 준비를 하고있는데 중소기업에 취업을 하고자 노력하는 취준생은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정부에서는 중소기업 취업 청년들에게 청년 내일채움공제라는 혜택을 통하여 이들이 누릴수 있는 재정적인 부분들을 지원해드리고 있는 정책입니다.
청년 내일채움공제 는 매달 일정금액을 적금 드는것을 말합니다. 2년동안 중소기업에 근무를 하게 되었을 시 약 300만원이란 금액을 모으게 된다면 실제로 마지막에 수령하게 되는 금액은 1600만원 이 되어 돈을 받을 수 있는 제도 입니다.
청년 내일채움공제에 가입을 해놓은 상태라면 이후에 받게되는 금액이 일부는 정부로부터 그리고 나머지 일부는 기업으로부터 정리되어 받게되는 금액 입니다. 청년 내일 채움공제를 신청한 고용자들은 두가지 방향으로 저축을 시작하면 되는 겁니다.
방법
1. 매달 12,5000 원 의 금액을 저축하거나
2. 매달 16,5000 원 의 금액을 저축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2년
▶ 청년 적립금 : 매월 125,000원
▶ 기업 적립금 : 400만원 <2년>
▶ 정부 적립금 : 900만원 <2년>
▶ 만기적립금 : 1,600만원
※ 3년
▶ 청년 적립금 : 매월 165,000원
▶ 기업 적립금 : 600만원 <2년>
▶ 정부 적립금 : 1,800만원 <2년>
▶ 만기적립금 : 3,000만원
기업과 정부가 일부분 나눠서 해당 신청자에게 주도록 되어 있는데 정부측에서는 최대 1800만원까지 지원을 하도록 되어있는 상태이며, 기업의 경우에는 600만원이 적용되기에, 나중에 어느정도 본인이 따로 들여놓은 적금과 해당 금액을 합치게 되면 괜찮은 목돈이 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다만, 이를 선택하기에 앞서 본인의 나이가 충족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청년 내일채움공제는 만 15세이상에서부터 만 34세이하의 청년들이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군복무 까지 마친 사람들의 경우라면 군생활 기간까지 인정하여 최대 39세까지는 신청이 가능하다는점도 큰 장점입니다. 게다가 본인이 고용보험에 가입되었던 기간들도 같이 따져보게 되는데, 이 부분은 가입했던 기간 자체가 3개월이 넘어가고 12개월을 넘어서게 된다면 청년 내일채움공제 신청 여부가 부결이 됩니다. 관련된 내용들을 꼼꼼히 따져보고 이후에 신청을 하는데 있어서 불리한 조건이 되지 않도록 알아보고 신청을 해야합니다.
2021/01/07 - [세월을 낚다] - 상가임대차보호법 정리
상가임대차보호법 정리
오늘은 상가임대차보호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상가임대차보호법과 동시에 우선은 상가를사용하는 사람들의 사연들에 대해서도 먼저 파악해볼 필요가 있는데요. 해당 건물을 사용하고
www.winercut.com
2021/01/06 - [일상&정보] - 국민연금 조기수령 방법
국민연금 조기수령 방법
국민연금 조기수령 방법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꼭 받아야할 노후자금 중 하나인 국민연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을 조기수령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다루어 볼게요. 오늘날
www.winercut.com
2021/01/05 - [일상&정보] - 개인사업자 부가세 신고 방법
개인사업자 부가세 신고 방법
개인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개인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안내 매년 1월은 부가가치세 신고가 있는 달입니다(2월 25일 까지 신고 납부하여야합니다 1개월 연장) 부가가치세는 사업관련 매
www.winercut.com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저축계좌 신청방법 조건 (0) | 2021.01.13 |
---|---|
실업급여 신청방법 (0) | 2021.01.07 |
월세 소득공제 받는방법 (0) | 2021.01.07 |
국민연금 조기수령 방법 (0) | 2021.01.06 |
개인사업자 부가세 신고 방법 (0) | 2021.01.05 |
퇴직금 계산기 사용방법 (0) | 2021.01.04 |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기간 홈페이지 (0) | 2021.01.04 |
댓글